가정 교육 제대로 못 받은 사람 특징 – 독학이 의심되는 행동 7

인생을 살다 보면 가정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것 같은 사람을 만나게 되는데 타인이 나를 그렇게 생각할지도 모르는 일이다.

가정 교육을 받지 못했다는 말은 상대의 부모를 비난하고 욕되게 하는 행동이기 때문에 패드립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최악의 행동이다.

그래서 주의할 필요가 있는데 가정에서 부모님의 가르침을 받지 못해서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들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사실 가르침이 부족한 것보다는 도덕성, 에티켓이 부족한 사람을 보고 이런 표현을 쓰기 때문에 평범하지 않은 성격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1. 인사를 안 함
  2. 밥 먹는 습관
  3. 독단적 행동
  4. 눈치가 없다
  5. 이기적 행동
  6. 사소한 배려
  7. 피해를 준다

1. 인사를 안 함

성격의 영향도 있지만 가정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으면 윗사람을 봐도 제대로 인사를 하지 않고 대꾸도 없기 때문에 욕을 먹는다.

어린 시절에는 부모님의 지인이나 친구가 집에 방문하지 않아서 인사를 할 기회가 없기 때문에 습관이 들지 않아서 그런 경우가 많다.

성격이 소심해서 어른을 보면 피하는 경우도 있는데 부모님이 인사를 하라고 시키지 않는다면 문제로 생각하지 않는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고 인사하는 것을 불편하게 생각하면 공적인 자리에서도 윗사람에게 인사를 하지 않아서 문제가 된다.

2. 밥 먹는 습관

과거에는 밥상머리 교육이라고 해서 부모님과 밥을 먹으면서 일상적인 이야기를 나누고 기본적인 예의를 배우기도 했다.

그래서 입안에 음식이 보이게 말하거나 쩝쩝거리면서 먹기, 젓가락질을 못하면 계속 지적을 받으면서 천천히 고치게 되었다.

젓가락질은 밥만 잘 먹으면 된다는 의견도 있지만 음식을 제대로 집지 못하고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서 교정이 필요하다.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거나 바빠서 함께 밥 먹는 시간이 적은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의 인상을 찌푸리게 만드는 식습관을 보여준다.

3. 독단적 행동

의외로 많은 분들이 냉장고를 함부로 열어보면 가정 교육을 못 받았다고 말하는데 남자들은 친한 친구끼리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다.

하지만 친구 집에 부모님이 계신 경우 목이 마르거나 배가 고파도 직접 냉장고를 열기보다는 친구에게 말하는 것이 좋다.

부모님의 성격을 닮은 경우도 있지만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다면 이런 부분을 신경 쓰지 못해서 함부로 행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 집에서 괜찮은 일들이 친구의 집에서도 똑같지 않기 때문에 특히 부모님이 계시면 독단적으로 행동하지 말고 물어보자.

4. 눈치가 없다

학창 시절 친구가 집에 놀러 와서 하룻밤을 같이 자게 되었는데 TV를 보고 싶다고 해서 거실에 이불을 깔고 누웠던 기억이 난다.

늦은 시간에 가족들이 잠에서 깰까봐 소리를 최대한 줄였더니 친구 녀석은 잘 안 들린다고 큰소리로 바꿔서 곤란하게 만들었다.

다음날 엄마가 맛있는 음식을 해줬지만 잘 먹겠다는 말이나 감사의 표현을 하지 않고 반찬 투정만 하다가 돌아가서 기분이 나빳다.

이런 모습은 가정 교육보다 부모의 영향을 받는 부분으로 남들은 생각하지 않고 눈치 없이 행동한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5. 이기적 행동

가정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은 특정한 상황에서 타인에게 배려하는 자세가 부족하기 때문에 사소한 일로 기분을 나쁘게 만든다.

이는 혼자 있는 시간이 많거나 부모의 성격이나 모습을 배우면서 주변을 신경 쓰거나 챙기지 못하는 성격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파트에서 시끄럽게 뛰어다니는 아이들은 부모의 부재로 그런 경우도 있지만 부모도 똑같은 잘못을 할지도 모른다.

실제로 가정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는 말은 나만 생각해서 주변에 피해를 주거나 이기적인 사람을 보고 쓰는 경우가 많다.

6. 사소한 배려

어린아이들이 부모에게 제대로 교육을 받고 있는지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칼이나 가위를 가져다 달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는 어린 시절부터 학교에서 배우기도 하는데 날카로운 물건은 위험하지 않게 날 부분을 손으로 잡고 상대방에게 줘야 한다.

하지만 제대로 교육을 받지 않으면 물건을 받는 상대방을 고려하지 않아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

어른이 말할 때는 끼어들지 않고 기다리기, 먼저 수저를 들면 이후에 먹는 것처럼 사소한 부분에서 미숙한 부분의 티가 난다.

7. 피해를 준다

어린 시절부터 가정 교육에 신경 쓰는 부모들은 자식의 귀에 딱지가 생길 정도로 남에게 피해를 주면 안 된다는 이야기를 한다.

덕분에 사회 생활을하면서 남에게 피해를 줄만한 행동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해서 부모님을 욕 먹이게 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대중교통에서 다리를 벌려서 앉거나 우산을 제대로 잡지 않아서 다른 사람에게 물을 묻히는 것처럼 사소한 것들이 포함된다.

교육이 부족한 사람들은 공공시설을 쓰면서 뒷정리를 제대로 하지 않는 등 남에게 피해를 주기 때문에 가정 교육 이야기가 나온다.


가정 교육을 받지 못한 게 아니라 ‘잘못’ 배운 경우가 더 많고 내가 지적한다고 바뀌지 않기 때문에 되도록 피하시길 바랍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