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루밍(Grooming)은 몸을 치장하거나 가꾸는 행위를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고양이가 자신의 몸을 깨끗하게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요즘 들어 미성년자 그루밍 범죄라는 말이 자주 나오고 있는데 대략적인 의미는 짐작하지만 정확히 어떤 뜻인지 모르는 분들이 많다.
그루밍 범죄는 위생을 위해 어린 새끼를 혀로 핥아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본인의 시커먼 욕구를 채우기 위한 행동을 말한다.
이번 시간에는 범죄 예방을 위해 가해자가 어떤 식으로 피해자에게 접근을 하고 가스라이팅을 시도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목차
1. 호감을 얻기
미성년자는 어른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이 연애의 감정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별로 없기 때문에 친해지기 어렵다.
그래서 그루밍 범죄를 계획하는 사람들은 호감을 쌓기 위해서 선물을 사주거나 어른으로 해줄 수 있는 도움을 주면서 접근을 한다.
그들은 칭찬을 하면서 기분을 좋게 만들고 고민이나 어려운 상황에 대한 조언을 해주기 때문에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어른이 된다.
내가 믿고 기댈 수 있는 사람, 인생에 도움이 되는 존재로 나중에 호의를 받은 만큼 베풀고 싶은 생각이 들지도 모른다.
2. 경계심 풀기
어느 정도 친분이 쌓이기 시작하면 가까운 사이가 되기 위해서 장난을 치거나 경계심을 풀면서 친밀도를 쌓아가려고 시도한다.
다른 어른들에게 하기 힘든 이야기를 하면서 조언을 구하고 비밀을 터놓게 되면 피해자는 가해자에게 정신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피해자 입장에서 어른에게 궁금한 점, 부모님께 하지 못하는 말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호기심을 해결할 수 있는 존재가 될 수 있다.
이렇게 나이가 어린 친구들이 성인에게 의지하기 시작하면 정신적으로 취약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휘둘릴 수 있다.
3. 접촉을 한다
계속해서 피해 대상에게 주기만 하던 가해자는 조금씩 성적인 요구를 하게 되는데 신체적인 접촉을 하거나 사진 등을 요구할 수 있다.
피해자 입장에서는 그동안 받은 게 있어서 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나마 자신이 들어줄 수 있는 범위에서 허용을 해주기 시작한다.
어깨가 뭉쳤으니 안마를 해준다고 하거나 조카처럼 좋아한다는 말을 하면서 점점 수위를 높여가고 자연스럽게 스킨십을 할지도 모른다.
나중에는 미안한 마음, 강압적인 태도 등 심리적인 압박을 주면서 관계를 지배하고 자신의 뜻대로 조종하려는 시도를 하게 된다.
4. 채찍과 당근
육체적인 관계를 맺은 이후에는 피해자가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빠져나가려고 하면 협박을 하는 것처럼 통제를 시도한다.
그러면서 칭찬을 하거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기 때문에 부모에게 받기 힘든 인정이나 애정 욕구를 채우는 경우가 많다.
결과적으로 성적인 학대나 피해를 받고 있지만 나를 사랑하고 인정해 주는 사람, 잘 챙겨주기 때문에 괜찮다는 생각을 할지도 모른다.
가해자는 자신이 헤어질 생각이 없다면 심리적인 우위를 통해서 피해자를 통제하거나 협박하고 연인과 같은 관계를 이어가게 된다.
5. 정신적 압박
나에게 선물을 주고 조언을 해주던 사람과 어쩌다 보니 연인처럼 지내는 사실이 좋을 수 있지만 대부분 부정적인 감정을 느낀다.
하지만 부모님이나 주변 친구들에게 말하기 무섭고 가해자도 나의 정신을 흔들어 놓기 때문에 먼저 헤어지자고 말하기 어렵다.
지금 상황을 벗어나고 싶은 마음, 가해자를 두려워하고 있지만 어쩔 수 없이 만나서 관계를 맺는 경우도 있어서 문제가 된다.
용기를 내서 주변 사람들에게 지금 상황을 말하는 것보다 자연스럽게 헤어지는 것을 바라는 상황이 발생할지도 모른다.
6. 그루밍 방법
- 도움을 주고 조언을 해주며 믿음을 얻는다.
- 무엇을 좋아하는지 물어보고 선물을 한다.
- 가정 환경이나 부모님 등 정보를 캐낸다.
- 신뢰를 얻으면서 천천히 관계를 발전시킨다.
- 가해자가 취약한 점을 파악하고 이용한다.
- 피해자의 크고 작은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가해자는 피해자의 가정 형편이 좋지 않으면 금전적으로 지원하는 것처럼 약한 부분을 파고들어 의지하는 상황을 만들게 된다.
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요구하게 되는데 좋은 사람을 잃고 싶지 않거나, 협박을 받아서 피해자는 생각지도 못한 선택을 한다.
7. 피해자 입장
그렇다면 그루밍 범죄를 당하는 사람들은 문제를 인식해도 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일까? 아래와 같은 이유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 피해를 받는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함
- 부모님께 말하기 어려워서 진실을 숨김
- 주변에 알려지면 곤란한 약점을 잡혀서
- 나를 도와줄 만한 사람이 없기 때문에
- 내가 느끼는 감정을 사랑으로 착각한다.
- 가해자의 협박이 무서워서 끌려다닌다.
- 물질적, 정신적으로 도움을 받고 있다.
실제로 가정 형편이 좋지 않거나 부모님과 관계가 좋지 않은 경우 피해 사실을 알아도 가해자에게 의지하는 경우가 많다.
그루밍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은 사랑해서 그랬다는 핑계를 대거나 진실을 부인하면서 본인의 결백을 주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신적으로 미숙한 피해자의 약점을 파고들어 더 큰 상처를 입게 만드는 사람들에 대한 처벌이 더 높아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