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씨가 많은 이유 – 김, 이, 박, 최, 정씨 인구의 몇%일까?

현재 한국에서는 270개 정도의 성씨(姓氏)가 존재하는데 그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성은 김(金) 씨로 알려져 있다.

인구주택총조사 집계에 따르면 2000년에는 약 992만 명, 2015년에는 1070만 명 수준으로 21~22%를 김씨가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다섯 명 중에서 한 명은 김씨라는 말이 되는데 다음으로 이씨, 박씨, 최씨, 정씨가 많으며 상위 5개를 합치면 54% 수준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한국에 특정 성씨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궁금한 분들이 많을 텐데 이번 시간을 통해서 알아보자.

목차

  1. 왕족이 많음
  2. 신분의 상승
  3. 귀화인 정착
  4. 호적 시스템
  5. 초기의 우세
  6. 정리

1. 신라의 왕조

676년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하게 되는데 지금의 한국을 있게 한 역사적인 국가라고 말할 수 있다.

신라는 박혁거세가 만든 국가로 초기에는 박씨가 왕위를 계승하고 이어서 석씨가 왕권을 잡았으며 17대 이후부터 김씨가 독점하게 된다.

약 550년간 김씨 왕조가 권력을 장악했고 전체의 70% 정도를 차지해서 신라 왕실을 대표하는 성씨는 김씨라고 말할 수 있다.

신라 시절 하층민은 성씨를 가지고 있지 않았지만 왕족과 귀족은 높은 신분과 지위를 나타내는 김씨 성을 가지고 싶어 했다.

2. 신분의 상승

일반 평민들도 성씨를 사용하게 된 시점은 고려, 조선 시대의 일로 많은 사람들이 김씨 성을 취득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시기에는 농사의 기술이 발달하여 평민들도 부를 축적하면서 사회적인 지위를 높이기 위해 양반 가문에 자신을 편입시켰다.

여기서 양민들이 주로 사용했던 성씨가 옛날 왕성으로 권위가 높았던 김씨 성으로 양반 족보를 구입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같은 전쟁으로 국가 재정이 어려웠던 시기에는 정부에서 재정 확보를 위해 돈을 받고 신분을 높여주기도 했다.

3. 귀화인 정착

고려 시대에는 개방적인 정책을 펼치면서 중국인, 여진족처럼 다른 나라에서 한반도로 온 사람들의 귀화를 받아들였다.

심지어 귀화한 사람들에게 거주할 수 있는 집과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을 제공하고 그들에게 고려의 성씨를 하사하기도 했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하사한 성씨가 ‘김’ 이었으며 사람들에게 이름과 신분을 제공해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도와줬다.

여진족에서 귀화한 사람들은 여진족에서 세운 금나라의 국호가 금(金)이었기 때문에 김씨 성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4. 호적 시스템

조선 후기부터 신분제가 동요되기 시작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성씨를 갖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없는 사람들이 많은 편이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민적법이 시행되면서 하층민에게 성(姓)과 본(本)을 부여했는데 흔하고 친근한 성씨로 개명을 하게 된다.

배우지 못하고 없는 사람들은 익숙하거나 부유한 사람들이 성씨를 따르는 일들이 많았으며 당시 김씨가 많아서 더욱 비율이 높아졌다.

참고로 일제강점기 호적 제도의 강화는 국민을 탄압하고 효율적으로 식민지를 통치하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유쾌한 일은 아니다.

5. 초기의 우세

이렇게 김씨가 많은 환경에서 결혼하고 아이를 낳으면 부모의 성씨를 따라야 했기 때문에 압도적으로 비율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다른 성씨를 가진 사람도 늘어났지만 애초에 규모의 크기가 달라서 앞으로도 계속 김씨 성을 가진 인구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에 들어서 귀화한 사람들은 다양한 성씨를 쓰고 출산율도 감소하는 추세라 시간이 흘러도 비율에 큰 차이는 없을 것이다.

실제로 5년 기준으로 통계를 내면 김씨가 21.5% 내외의 비율을 보여주기 때문에 퍼센티지는 크게 변동이 없을 거라 생각한다.

6. 정리

  1. 과거 왕족들은 김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다.
  2. 신라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하고 다양한 본관 형성
  3. 고려 시대 많은 귀화인들이 김씨 성을 하사받았다.
  4. 조선 후기 신분제 동요로 김씨 족보를 사거나 위조
  5. 일제강점기 창씨개명으로 흔하고 익숙한 김씨 선택
  6. 초기에 인구가 많아서 압도적인 수준으로 증가했다.

이렇게 다양한 이유로 김씨 인구가 많아지게 되었으며 앞으로도 전체 인구의 21~22% 정도의 비율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