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르시스트 뜻 – 여자와 남자 성격의 특징

인간은 기본적으로 나르시시즘을 가지고 있는데 증상이 심한 사람들은 자신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진실을 왜곡하는 경우가 있다.

지나치게 자신에 대해서 높게 평가하고 표출하는 사람들은 오만한 성격으로 불리며 주변 사람들에게 나쁜 이미지로 보인다.

이를 나르시시스트라고 하는데 일본과 한국에서 발음이 어렵다는 이유로 줄여서 나르시스트라는 말을 사용하고 굳어지게 되었다.

그렇다면 나르시스트는 정확히 어떤 뜻으로 해석할 수 있을까? 그리고 나르시시즘을 가지고 있는 여자와 남자의 특징을 알아보자.

목차

  1. 뜻과 유래
  2. 욕심이 많다
  3. 부정적 생각
  4. 이중적 모습
  5. 자신을 혐오

1. 뜻과 유래

한자로 自己愛 영어는 Narcissism라고 쓰며 스스로에게 마음이 쏠려 정상적인 판단이 어려운 자기도취증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단어의 뜻은 그리스 신화에서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반해서 빠져 죽은 나르키소스(Narcissus)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이들은 본인 스스로에게 빠져 자기 자신을 훌륭하고 멋진 사람으로 생각하면서 주변 사람들의 인상을 찌푸리게 만들기도 한다.

여기서 곤란한 부분은 다른 사람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지만 본인의 외모나 능력이 뛰어나다고 착각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사랑의 감정을 자신에게 느끼기 때문에 본인에게 성적인 흥분을 느낄 수 있으며 자만하고 건방진 모습으로 보이는 경우도 많다.

본인을 과대평가하고 주변 시선을 의식하는 사람은 관심병, 연예인 병이 있다고 하는데 나르시시즘으로 인한 증상으로 본다.

2. 욕심이 많다

나르시시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자신의 목표나 목적을 위해 법을 위반하지 않는 선에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일부 사람들은 욕심에 눈이 멀어 이후에 발생할 결과를 예상하지 못하고 위법한 행위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주변에 피해를 준다.

이렇게 욕심을 부리는 이유는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은 이득을 취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인데 마음을 비우지 못해 스스로 괴로워한다.

다른 사람은 나보다 못하다고 생각해서 가진 것을 빼앗거나 능력을 인정받는 것을 시기하고 질투해서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내 욕심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나의 능력의 한계를 알고 있지만 인정하지 않으려고 하는 모습을 보인다.

타인에게 인정을 받고 싶은 욕구로 인해서 나를 추켜세우고 남을 무시하기 때문에 안타까운 상황이 반복되는 일들이 많다.

3. 부정적 생각

기본적으로 인생의 주인공, 세상의 중심을 자신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나보다 인기가 있거나 능력 있는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래서 타인을 부정적인 시선으로 보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데 직장에서 이런 상급자와 함께 일하면 나의 평판이 나빠질 수 있다.

일을 못하면 인격적으로 무시를 당하고 잘하는 사람을 능력이 인정받고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도록 이간질이나 험담을 하기 때문이다.

나르시시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욕심이 많아서 리더로 괜찮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기대한 만큼의 역량을 보여주지 못한다.

본인을 돋보이게 만들고 싶어서 타인을 부정적으로 생각하기도 하지만 스스로 불안한 마음이 크기 때문에 그런 생각을 한다.

스스로를 대단한 존재라고 말하면서 다른 사람은 나쁘게 말하기 때문에 주변에 이런 사람이 있으면 그렇게 유쾌하지 않을 것이다.

4. 이중적 모습

위의 이야기를 종합해 보면 위아래도 없는 모습을 보여줄 것 같지만 강자 앞에서는 의외로 고분하고 잘 따르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힘이나 능력의 차이가 압도적인 경우만 해당되며 윗사람에게 받은 스트레스를 아랫사람에게 푸는 강약약강의 행동을 한다.

일진이라고 불리는 녀석들이 선생님 앞에서 괴롭히는 아이와 친한 척을 하거나 오히려 피해자라고 말하는 것처럼 말이다.

이런 성격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오히려 가해자의 편을 들면서 피해자들이 잘못했기 때문에 그런 거라는 비난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 주변 사람들은 무언가 찝찝한 느낌이 든다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으며 가식적인 모습을 보고 고개를 흔들기도 한다.

이렇게 이중적인 모습을 가지고 빠르게 높은 위치로 올라가면 그동안 했었던 이미지 관리를 버리고 본색을 드러내는 경우도 있다.

5. 자신을 혐오

나르시시즘은 자신을 잘났다고 생각하는 마음에서 온다고 생각하지만 오히려 싫어하고 미워하는 마음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실제로는 나의 모습을 외면하고 피하고 싶은 마음이 새로운 가면을 만들어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생각하고 유지하려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나를 비난하고 현실적인 생각을 하게 만들어도 내가 만든 페르소나를 깨지지 않게 하려고 예민하게 반응한다.

결과적으로 나르시시즘 성격을 가진 사람을 욕하고 비난하면 환상이 깨어지지 않도록 거짓말을 해서라도 방어를 하는 것이다.

여기서 떨어진 자존감은 나보다 부족하고 못한 사람을 통해서 채우기 때문에 직접 괴롭히거나 몰아가면서 대상을 힘들게 만든다.

겉으로는 강해 보이지만 내면의 우울함이 존재하니 비난하고 맞서기보다는 외면하고 무시하는 게 현명한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은 자존감을 높게 만들지만 지나치면 오히려 독이 되고 이미지를 나쁘게 만드는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경증이라면 괜찮지만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거나 스스로 괴로움에 빠져 있다면 전문가에게 심리 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