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를 하는 사람들은 불안한 마음에 서로를 의심하고 속박하는 경우가 많지만 결혼을 하고 나이가 들면 질투가 줄어들고 간섭이 덜해진다.
하지만 연애를 할 때, 결혼을 하고 나서도 상대방을 의심하고 옥죄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런 행동은 부정망상을 의심할 수 있다.
다른 말로는 의처증, 의부증이라고 하는데 차이점은 남편이 아내를 의심하는 경우 의처증, 아내가 남편을 의심하면 의부증이 된다.
목차
1. 유형
배우자 불륜
당신 나 말고 다른 사람 만나고 있는 거지?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상황이 포착되면 배우자가 외도를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고 추궁한다.
일부 사람들은 자신의 배우자가 유명인과 눈이 맞았다는 생각을 하기 때문에 특정 연예인을 증오하고 공격성을 보이기도 한다.
과대망상
배우자가 직장에서 함께 일하는 동료와 인사하는 모습을 보더니 단순한 사이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고 애틋한 관계라는 확신이 든다.
저렇게 다정하게 인사를 하면 분명히 서로에게 이성으로 느껴질 가능성이 높고 부정한 행위를 하고 다니는 모습이 머리에 그려진다.
피해망상
나는 가정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지만 배우자의 부정한 행동 때문에 계속 피해를 보고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문제가 커질 것이다.
심지어 나를 떠나서 그 사람과 살림을 차리려는 욕심 때문에 목숨을 위험하게 만드는 상황을 연출할 수 있으니 항상 의심한다.
질투심 자극
요즘따라 남편, 혹은 아내가 운동을 하면서 몸을 만들고 외모에 신경을 쓰는 것을 보니 어떤 사람 때문에 그런 것일까 질투심이 생긴다.
반대로 배우자가 자신을 질투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싫어하고 자신에게 열등감을 느낀다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신체적 결함
내가 신체적 장애가 있거나 지능이 낮다고 무시해서 외도를 하는 거야? 해당 결함이 없어도 문제를 만들고 망상을 하기 시작한다.
일부 신체적,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내가 부끄럽고 싫어서 배우자가 한눈을 판다는 자격지심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르니 참고하자.
의처증, 의부증은 부정망상에 의한 증상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현되는데 공통적인 점은 상대방을 의심하고 확신한다는 것이다.
2. 증상
지나친 관심
일거수일투족 나에게 비정상적으로 관심을 갖기 때문에 어디에 누구와 함께 있는지 계속해서 물어보고 확인을 하기 때문에 피곤하다.
가끔은 내 옆에서 통화, 문자 목록을 확인하고 몰래 SNS 계정에 로그인해서 살펴보는 등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과민한 반응
예를 들어 잔업 때문에 1시간 늦게 퇴근한 사람에게 정말 일 때문에 늦은 게 맞냐며 추궁하고 짜증을 내면 양심에 찔리니까 그런다고 한다.
대부분 자신의 생각을 확신하기 때문에 상대방을 의심하고 직장에 직접 전화해서 잔업을 했는지 확인해도 의심의 끈을 놓지 않는다.
질투를 느낌
배우자가 평소에 나를 보면서 더 매력적이고 사회적으로 성공했기 때문에 질투심을 느끼고 타인과 만나는 것을 싫어한다는 생각을 한다.
이렇게 배우자가 나를 질투하고 감시하기 때문에 상대방도 부정한 일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요즘 행동을 보면 의심스러운 것들이 많다.
불안한 마음
최근 불안하고 초조한 심리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며 미래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무언가를 집중하기 어렵고 불면증으로 쉽게 잠들지 못한다.
그로 인해 두통이 자주 생기고 밥맛도 없어지는데 불안감의 원인을 배우자에게 찾기 때문에 상대를 의심하고 억압하는 형태로 변할 수 있다.
가장 믿고 의지해야 하는 사람을 테스트하고 의심하고 나중에는 상대방 잘못으로 몰아가기 때문에 관계를 파멸에 이르게 만든다.
3. 극복
애인이나 배우자를 의심하는 이유가 정신적인 결함이 아니라 개인의 성격 문제인 경우에도 치료가 매우 어렵다고 한다.
환자가 스스로 꾸며낸 망상을 현실이라고 생각해서 자신의 주장이 거짓이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못하고 받아들이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치료를 받다가 고집을 부리며 거부하는 경우도 있고 의사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영향을 받으면서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나중에는 나를 도와주려는 사람들이 모두 위협을 가하거나 거짓말을 하는 것 같기 때문에 혼란스러워서 치료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모습은 치매 환자들에게 많이 보이는데 전두엽, 측두엽에 문제가 생기면 현실 자각 능력이 떨어지고 망상이 심해지기 때문이다.
치료는 부부, 가족과 함께 심리적인 상담을 진행하며 향정신성의약품을 통해서 환자의 호르몬을 조절하고 부정망상을 제어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배우자가 부정망상을 가지고 있어도 참고 살았지만 요즘에는 상대방의 성격을 견디지 못해서 대부분 이혼을 선택하는 모습입니다.
가끔 본인의 외도로 상대방을 힘들게 만들고 의처증, 의부증으로 몰아가는 경우도 있으니 섣부른 판단과 조언은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