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기본적으로 하지 말라고 하면 더 하고 싶은 심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금지된 것에 대한 호기심을 느끼고 반대로 행동하려고 한다.
부모님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말리는 결혼을 하고 후회하는 사람들도 반대로 하고 싶은 청개구리 심리가 적용된 사례라고 말할 수 있다.
심리학에서는 칼리굴라, 리액턴스 효과라고 하는데 이번 시간에는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사례, 해결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목차
1. 반대 심리
우리는 무언가 하거나 하지 말라고 명령을 받으면 반대로 하거나 하기 싫은 감정을 느끼는데 결과적으로 손해를 봐도 이 같은 생각이 든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보고 ‘반심리, 역심리’라고 부르는데 이런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민담에서 엄마 속을 썩인 청개구리라고 부른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반대되는 행동을 했을 때 발생하는 상황, 명령을 듣지 않고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하려는 마음이 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반대로 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거나 명령하는 사람의 태도가 불량하거나 위치가 낮을 때 반대 심리는 증가하게 된다.
열심히 방을 치운 만큼 내가 얻는 것이 없다는 생각이 들면 엄마가 방을 치우라고 말해도 나는 괜찮다며 이를 무시하는 모습을 보인다.
발생하는 원인
- 명령이나 규칙에 자유를 억압당하지 않기 위한 심리
- 금지된 것에 대한 호기심 어떤 일이 벌어지게 될까?
- 권위에 대한 반발심, 자유를 추구하는 본능적인 욕구
- 개인의 성격, 가치관에 따라서 청개구리 심리가 작용
- 본인의 주장이 강하고 감정적인 사람일수록 잘 발생
2. 칼리굴라
톰 소여의 모험으로 유명한 미국의 소설가 마크 트웨인은 아담과 이브는 사과에 관심이 없었지만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먹은 것이라 말했다.
하지 말라는 이야기, 금지된 것에 대해서 하고 싶고 충동적인 감정을 느끼는 것은 심리적 저항, 또는 칼리굴라 효과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이 용어는 1979년 미국 보스턴에서 상영한 영화 칼리굴라 때문에 만들어졌는데 해당 작품은 잔인하고 성적인 묘사가 많았다고 한다.
그래서 상영을 금지시켰더니 사람들은 어떤 영화인지 보고 싶다는 충동이 들어서 전보다 폭발적인 관심을 보이고 보스턴에 방문하기도 했다.
이후 사람들은 무언가 하지 못하게 금지를 시키면 오히려 더 관심을 갖는 현상을 가리켜 칼리굴라 효과라고 부르게 되었다.
3. 리액턴스
전기 회로에서 직류 전류를 방해하는 것은 저항이지만 교류는 다른 저항 성분이 존재하는데 이를 리액턴스(reactance)라고 부른다.
원래는 전기저항을 의미하는 용어가 심리학 용어로 바뀌면서 청개구리 심보가 되었는데 아래와 같은 상황을 리액턴스 효과 예시로 들 수 있다.
흡연 금지
가끔 등산을 하다 보면 산에서 담배를 태우는 사람들이 있는데 금단 현상도 있지만 하지 말라고 금지하면 더 하고 싶은 마음이 들기 때문이다.
술과 담배
청소년은 술과 담배가 금지되어 있지만 호기심에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우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반항을 통해서 해방감을 느끼기도 한다.
인터넷 검열
폭력적이거나 음란한 사이트는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 놓는 경우가 있는데 사람들은 이를 보려고 하는 심리 때문에 우회 방법을 찾는다.
다이어트
운동을 하고 체중 감량을 결심한 시점부터 입맛이 돌고 그전에는 관심도 없었던 고칼로리 음식이 먹고 싶어서 괴로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 말라고
상대방이 싫어하는 일을 하면서 반응을 즐기는 사람들이 있는데 하지 말라고 이야기하면 더욱 신나서 장난을 치다가 크게 싸우기도 한다.
나는 짜장
상급자와 함께 중국집에 방문했는데 아무거나 편하게 먹으라면서 짜장을 외치고 나머지도 짜장을 시키는 경우 다른 메뉴를 먹고 싶어진다.
일찍 자야지
너 내일 약속 있다면서 안 잘 거야? 불면증이 심한 사람들은 일찍 자야 하는 일이 생기면 청개구리 심리가 작용해서 뜬눈으로 밤을 새운다.
부모가 시키는 대로 인생을 살던 사람이 대학교에 들어가서 공부를 하지 않고 유흥을 즐기며 본인의 인생을 망가트리는 경우가 있다.
억압으로 인한 청개구리 심리는 나중에 고삐가 풀리면 큰 반발심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나와 주변 사람들을 파멸에 이르게 만들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