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거울, 실물 차이 – 자기 얼굴 객관적으로 보는 방법 5선

거울로 내 얼굴을 보면 가끔 잘생겼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정말 이렇게 생겼나? 못생겨서 절망하기도 한다.

가장 심각한 부분은 스마트폰 카메라로 사진을 찍으면 얼굴이 너무 길쭉해 보이거나 눈이 이상해 보일 때가 많아서 소심해진다.

다른 사람에게 물어보면 사진이 못생기게 나왔다는 말을 하기도 하지만 원래 그렇게 생겼다고 말하는 경우 나의 실물이 궁금해진다.

그렇다면 자기 얼굴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이번 시간에는 나의 실물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목차

  1. 동영상 촬영
  2. 거울의 종류
  3. 반전된 거울
  4. 일정한 거리
  5. 사진과 거울
  6. 목소리 차이
  7. 참고

1. 동영상 촬영

렌즈, 각도, 조명에 따라서 얼굴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일단 친구를 촬영한 다음에 실물과 차이가 없는지 확인을 해보자.

이후 가장 실물과 가깝게 나오는 스마트폰이나 사진기로 나의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면 그게 다른 사람이 보는 나의 얼굴이다.

사진으로 찍었을 때는 이상해 보이지만 동영상으로 찍으면 괜찮은 경우가 많은데 시선처리가 자연스럽고 생동적이기 때문이다.

친구들과 함께 촬영한 동영상을 보면서 모두 실물과 차이가 없다면 그곳의 모습이 나의 진짜 얼굴이기 때문에 참고하자.

2. 거울의 종류

모든 거울이 평평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얼굴이 달라 보일 수 있으니 집에 있는 모든 거울을 통해서 나를 보면서 평균치를 내보자.

화장실 거울의 경우 조명이 일정하고 자주 보기 때문에 익숙해서 편하지만 밖에서는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가장 실물과 근접하게 나오는 거울은 미용실이나 안경집처럼 업무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왜곡이 적은 거울이라고 할 수 있다.

집보다 밖에 있는 거울로 얼굴을 봤을 때 모습이 가장 실물과 가깝다고 할 수 있으며 적나라하게 잡티가 나와서 민망할지도 모른다.

3. 무반전 거울

셀카를 찍거나 거울을 보면 우리는 좌우가 반전된 모습을 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시선으로 봤을 때와 차이가 존재한다.

이 부분이 중요한 이유는 사람마다 왼쪽, 오른쪽이 자신 있는 얼굴이 있으며 대부분 비대칭이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인터넷에서 무반전 거울을 검색하면 다양한 제품이 나오는데 거울 2개만 있으면 누구나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비싸게 구입하지 말자.

좌우 반전된 형태로 내 얼굴을 보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처음에는 불편하게 느낄 수 있지만 오히려 잘생겨 보일지도 모르는 일이다.

4. 일정한 거리

많은 분들이 사진과 실물이 다르게 나오는 것 같아서 고민을 할 텐데 카메라 렌즈는 가까이 촬영하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래서 최대한 왜곡을 줄이면서 촬영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5m 정도 떨어진 상태에서 촬영을 해야 나의 실물을 담을 수 있다.

이후 부모님에게 물어보면 잘생기고 예쁘다고 말하기 때문에 친구에게 객관적으로 내 실물과 똑같이 나왔냐고 물어보면 된다.

일정한 거리를 두고 친구와 같이 찍은 사진을 봤을 때 친구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면 내 얼굴도 실물일 가능성이 높으니 참고하자.

5. 사진과 거울

그렇다면 내 진짜 얼굴을 보기 위해서는 사진 VS 거울 무엇이 좋을까? 순위를 매기면 거울 > 동영상 > 사진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은 타인이 보는 나의 얼굴을 확인할 수 없는데 얼굴을 본떠서 만든 조각품이 아니라면 입체감을 모두 담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나마 거울이 실물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으며 집에서 보는 거울은 익숙하기 때문에 잘생기고 예쁘게 보이는 보정 효과가 존재한다.

그래서 집이 아니라 다른 곳에 설치된 거울로 보는 것이 다른 사람이 보는 나의 얼굴과 가장 가까운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6. 목소리 차이

위의 내용과 상관이 없는 내용이지만 내 목소리가 다른 사람에게는 다르게 들린다는 사실을 모르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다.

우리가 평소에 말을 할 때는 성대가 울리면서 뼈를 통해서 전달되기 때문에 두껍지만 실제 녹음된 목소리는 얇고 가늘게 들린다.

개인적으로 친구들과 찍은 동영상을 보면서 웃다가 처음 듣는 목소리가 들려서 놀랐는데 내 목소리라는 사실을 알고 충격을 받았다.

남들이 보는 내 실물을 확인하고 싶어서 동영상을 촬영하는 분들은 목소리도 다르기 때문에 녹음해서 색다른 경험을 해봤으면 좋겠다.

7. 참고

  • 거울에 비친 내 모습은 좌우가 반전되어 보인다.
  • 조명에 따라서 얼굴의 윤곽선이 달라질 수 있다.
  • 평평하지 않은 거울은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 여러 각도로 촬영하면 실물을 확인하기에 좋다.
  • 거울 > 동영상 > 사진 순서로 실물과 근접하다.
  • 익숙한 환경에서 보는 내 모습은 더 잘나 보인다.
  • 친구와 함께 거울을 보거나 사진을 찍어서 비교
  • 사진의 모습이 실물과 가까운지 주변에 물어보기
  • 카메라 렌즈의 왜곡을 피하기 위해 거리를 둔다.
  • 무반전 거울로 보면 타인의 시선에서 볼 수 있다.
  • 얼짱 각도가 아니라 정면을 봐야 실물과 가깝다.

거울을 보면서 얼굴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각도나 조명을 바꿀 수 있지만 사진은 바꿀 수 없기 때문에 불만이 생길 수 있습니다.

내 실물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거울에 보이는 친구의 모습이 실물과 똑같을 때 그곳에서 나의 얼굴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다만 무반전 거울이 아니라면 좌우가 반전되어 보이기 때문에 남들이 나를 보는 것과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은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