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음 종류 15선 – 사람이 미소를 짓거나 웃는 이유

사업이 망하고 무미건조한 일상이 지속되고 있다. 가끔 동영상을 보면서 재미있는 장면이 나오면 웃기도 하지만 일상의 미소가 사라졌다.

이러면 안 되겠다 싶은 마음에 억지로라도 웃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 웃거나 미소를 지을 수 있을까?

이번 시간에는 웃음의 종류에 대한 내용을 쓰려고 하는데 이 글을 읽는 분들이 긍정적인 일로 웃는 일들이 많았으면 좋겠다.

목차

  1. 기쁨의 감정
  2. 남들 비웃기
  3. 깜짝 놀라서
  4. 너무 힘들다
  5. 정신적 충격
  6. 진통제 역할
  7. 어색한 상황
  8. 슬픔의 표현
  9. 감동을 느낌
  10. 허탈한 기분
  11. 억지로 웃기
  12. 광기적 행동
  13. 어이가 없다
  14. 의무적 미소
  15. 정신적 문제

1. 기쁨의 감정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처럼 욕구를 충족하거나 만족스러운 감정을 표현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즐겁고 행복한 감정이 여기에 포함된다.

인간이 느끼는 기쁨의 감정은 금방 사라지지만 최대 3개월 정도 유지되는 경우도 있으며 극도의 기쁨은 인상을 찡그리게 만든다.

초등학교에 들어간 이후 아이들은 점점 웃는 빈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어린 시절에 충분히 웃을 수 있도록 즐거운 시간을 보내야 한다.

2. 남들 비웃기

한자로는 냉소(冷笑)라고 할 수 있는데 평소에 싫어하거나 업신 여기는 사람들에게 쌀쌀한 태도로 웃는 상황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비웃는 것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말실수를 할 일도 없고 멀리서 썩소를 지으며 정신적인 대미지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누군가의 불행을 즐겁게 생각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 비웃음을 당하거나 남에게 이런 모습을 보일만한 일은 없는 게 좋다.

3. 깜짝 놀라서

누군가 조용히 다가와서 깜짝 놀래키는 경우, 처음에는 당황스럽고 화가 날 수 있지만 이내 상황을 인지하면 너털웃음이 나온다.

다른 사람과 함께 영화를 보다가 놀라도 왠지 뻘쭘한 기분이 들어서 웃기도 하는데 예상하지 못한 상황은 우리에게 웃음을 제공한다.

깜짝 놀란 사람뿐만 아니라 원인을 제공하고 이 모습을 지켜본 사람도 웃기 때문에 놀라는 감정은 미소와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4. 너무 힘들다

군대에서 유격훈련을 하면 인간의 한계를 시험할 정도의 체력 단련을 하는데 중간에 이상하게 웃음이 터져 나오는 구간이 존재한다.

너무 힘들기 때문에 어이가 없기도 하지만 이 상황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부정하고 싶은 마음에 웃음이 나오기 시작한다.

몸을 움직이기도 어려울 정도의 상황에서 계속 훈련을 받다 보면 악에 받쳐서 크게 소리를 지르거나 웃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

5. 정신적 충격

인간은 누구나 방어기제를 가지고 있어서 본능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고통이나 슬픔에 대해서 스스로를 보호하려고 한다.

그래서 크게 충격을 받을만한 일이나 슬픈 사건이 발생하면 나도 모르게 쓴웃음을 지으면서 한동안 이성적으로 생각하게 된다.

정신적인 충격에 대비해서 이건 현실이 아니라 꿈이라는 부정을 하지만 천천히 받아들이면서 입가에 웃음도 사라지게 된다.

6. 진통제 역할

심하게 다친 사람들이 자신은 괜찮다며 웃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아드레날린이 분비되어 통증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부분 주변 사람들에게 걱정을 끼치지 않으려는 심리가 작용해서 괜찮다며 웃는 모습을 보이고 나중에 통증이 몰려오기 시작한다.

인간이 고통을 받으면 통증을 완화시키는 엔도르핀이 분비되는데 일시적으로 기분이 좋기 때문에 나도 모르게 웃음이 나올지도 모른다.

7. 어색한 상황

노래를 하는 도중에 누군가 들어오거나 길에서 넘어지는 것처럼 뻘쭘하고 어색한 상황에 사람들은 웃으면서 빠르게 그 자리를 피한다.

처음 직장에 들어가거나 소개팅을 하는 경우에도 상대와 친하지 않지만 잘 보이기 위해서 어색한 미소를 짓기도 한다.

이렇게 어색하고 불편한 상황에서는 이를 감추기 위해서 웃는 경우가 많은데 사회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8. 슬픔의 표현

헤어진 사람들은 마냥 슬퍼하며 눈물을 흘리기도 하지만 추억을 회상하며 웃거나 덤덤한 표정으로 미소를 짓기도 한다.

이런 모습은 고통스러운 상황을 억누르거나 괜찮은 척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서 그럴 수 있는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다.

사랑했던 사람과 헤어진 기억은 나이가 들어서 풋풋한 시절의 추억으로 남기도 하는데 가끔 떠오르면 웃음이 나올 때도 있다.

9. 감동을 느낌

가슴이 따뜻해지는 상황에 사람들은 눈물을 흘리기도 하지만 웃는 경우도 많아서 울다가 웃으면 엉덩이에 뿔난다는 이야기를 한다.

큰 폭포를 보면서 자연의 위대함을 느끼는 상황, 어려운 환경을 이겨내고 성공한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 감동의 미소가 나온다.

다만 억지로 감동적인 장면을 만드는 영화나 다큐멘터리 작품 때문에 억지로 쓴웃음을 짓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10. 허탈한 기분

목표를 가지고 열심히 노력했지만 실패했을 때, 우리는 허탈하고 슬픈 감정을 느끼지만 이상하게 하늘을 보면서 웃기도 한다.

큰 기대를 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고 실패를 반복하다 보면 답답한 감정을 부정적인 방법보다는 웃음으로 풀어낼 수 있다.

이렇게 진지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열심히 준비하거나 노력했던 것들이 의미가 없어지거나 결과가 좋지 않으면 허탈한 웃음이 나온다.

11. 억지로 웃기

지금 느끼는 감정이나 상황에 상관없이 억지로 웃는 것은 어색하고 불편해 보이지만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그래서 과거 군대에서는 종을 치면 무조건 웃어야 하는 웃음벨이 운영되기도 했는데 억지로 과장된 웃음을 지으라고 강요를 받았다.

어이가 없지만 가끔은 긍정적인 웃음으로 바뀌기도 했는데 선임들의 눈치를 보면서 크게 웃어야 했던 시절이 떠올라 쓴웃음이 나온다.

12. 광기적 행동

가끔 비정상적인 모습을 하고 있는 사람들, 조커 같은 악당들이 광기 어린 미소를 짓는 장면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이들의 모습은 나쁘게 말해서 미치광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누군가에게 겁을 주거나 우월한 감정, 조롱을 위해서 웃는다고 볼 수 있다.

웃음으로 광기를 보여주는 경우 매우 크고 기괴한 소리를 내거나 귀신처럼 섬뜩한 모습으로 웃는 모습을 보여준다.

13. 어이가 없다

대화가 잘 안 통하는 사람과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말도 안 되는 핑계를 대면서 자신의 잘못을 회피하려고 있다는 생각을 해보자.

처음에는 화가 나지만 이상한 핑계를 계속 듣다 보면 어이가 없어도 나도 모르게 실소가 터져 나오는 상황을 경험하기도 한다.

어색하고 어설픈 상황에서 나오는 웃음과 비슷하지만 그보다 어처구니가 없는 상황에 더 가깝기 때문에 부정적인 감정이 크다.

14. 의무적 미소

승무원의 경우 미소를 짓는 방법에 대해서 배우는데 어색하지 않고 진짜 웃는 것처럼 꾸준히 연습을 한다.

그래서 유튜브를 보면 항공과 학생들, 실제 승무원들이 어떤 방법으로 미소 연습을 해야 하는지 가리켜주는 영상이 많은 편이다.

승무원 뿐만 아니라 연예인들도 대중에게 얼굴이 보이는 직업이기 때문에 의무적으로 웃는 연습을 하고 억지로 미소를 띤다.

15. 정신적 문제

장례식장처럼 엄숙한 분위기에 사람들이 우는 상황에서 웃음이 나온다고 걱정하는 분들이 계시는데 감정실금을 의심할 수 있다.

감정실금은 주변 분위기와 상관없이 눈물이 흐르거나 웃음이 터져 나오는 증상으로 뇌 손상이나 신경 질환으로 문제가 발생한다.

감정실금은 몇 분에 걸쳐서 발생하고 멈출 수 없어서 괴로운데 약물로 충분히 치료할 수 있다고 하니 고민하지 말고 치료를 받자.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