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혐오가 심한 사람들 원인 – 본인을 비하 증상 극복

글쓴이 주변에는 자기비하가 심한 친구가 한 명 있는데 조금만 실수를 해도 스스로에게 욕을 하거나 한심하다는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가끔은 너무 심해서 그렇게 스스로 비난하지 말라고 하지만 자신은 욕을 먹어도 싸다고 말하며 주변 사람을 불편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자기비하가 심한 사람들은 왜 그런 것일까? 이번 시간에는 자기혐오에 빠진 사람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목차

  1. 자기혐오
  2. 원인
  3. 문제점
  4. 대처하기

1. 자기혐오

자신을 혐오스러운 존재로 인식하는 것을 자기혐오라고 하는데 증상이 심해지면 자해를 하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

그래서 이런 감정을 느끼는 분들은 빠르게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대부분의 자기혐오는 열등감이 클수록 높아진다.

열등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타인과 비교하면서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는데 이런 환경은 자존감을 낮게 만든다.

타인을 비난하고 무시하는 경우도 많지만 스스로 한심하고 가치가 없는 사람이라 느끼기 때문에 자신을 혐오하고 증오하는 형태로 변하기도 한다.

반대말은 자아도취가 있는데 두 증상 모두 현실을 회피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기혐오, 나르시시즘 모두 보이는 경우도 있다.

2. 원인

완벽 주의자

완벽한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주변 사람뿐만 아니라 자신에게 불만을 느끼기 때문에 스스로 본인을 비판하고 혐오하는 모습을 보인다.

계속된 실패

계속 실패만 하거나 성공과 실패를 반복하는 경우 좌절감을 느끼고 나에게 실망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우울해지고 자기혐오가 생길 수 있다.

학대를 당함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사랑을 받지 못하고 학대를 당한 사람은 스스로를 가치가 없는 사람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자기비하를 하는 경우가 많다.

부모의 영향

무언가를 잘해도 부모에게 칭찬을 받지 못하고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 환경에서 자랐다면 자신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분노를 표출

오랜 시간 분노를 표출하고 싶지만 억압받는 환경에서 성장한 경우 자신에게 화를 내면서 감정을 해소하기 때문에 자기혐오가 생긴다.

유전적 요인

부모가 게으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면 자식도 비슷한 경우가 많은데 자기혐오에 빠지기 쉬운 성향이기 때문에 유전적인 요인이 작용한다.

부모의 권위

권위적이고 폭력적인 부모 아래에서 자란 아이들은 성인이 되어서 부모 욕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인이 닮아가는 모습을 보면 자기혐오를 느낀다.

주변의 환경

집뿐만 아니라 학교, 직장에서 다른 사람의 비도덕적이고 추악한 행동을 내가 비슷하게 따라 하는 경우 자기혐오를 느낄 수 있다.

외모의 문제

얼굴이 못생기거나 키가 작은 경우는 본인이 노력해도 고치기 어렵고 불가능한 부분도 있기 때문에 남들과 비교하면서 자존감이 낮아진다.

3. 문제점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을 느끼기 시작하면 내면의 목소리를 듣고 혼자 대화를 하면서 고립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다.

대부분 자신의 단점을 잘 알고 있으며 그에 대한 후회, 자기비하를 반복하기 때문에 정신적으로 힘들어지면 방어기제가 작동하게 된다.

가장 곤란한 경우는 외모, 신장, 성별처럼 본인이 노력해도 바꾸기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한 부분으로 자기혐오의 강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그래서 정신이 버티지 못하는 경우 자신의 심리적인 안정을 위해서 이기적으로 행동하고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난감하다.

이렇게 자신 스스로 혐오하는 이유를 잘 알고 있지만 원인을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타인의 지적으로 고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다.

자기혐오가 심한 사람들은 남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자신이 이러는 이유를 남들은 관심도 없기 때문에 거짓된 모습으로 살아간다.

많은 분들이 스스로 고치려고 노력하거나 시간이 약이라는 생각을 하지만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 방법이다.

4. 대처하기

  • 외부 환경, 문제를 바꾸려고 하지 않는다.
  • 자기혐오 원인을 본인 내면에서 찾는다.
  • 잘못된 부분은 누구의 탓도 하지 않는다.
  • 나보다 나쁜 환경에서 성공 사례를 본다.
  •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변화하는 것이 좋다.
  • 현재 모습은 어쩌면 당연하다는 것을 인지
  • 자기혐오를 유발하는 원인을 찾고 이해
  • 부정적 사고방식을 버리고 긍정적인 생각
  • 스스로 칭찬을 하고 실수를 하면 용서한다.
  • 관련 책이나 동영상을 보면서 위로를 받기

자기혐오가 심한 사람들은 나 혼자가 아니라 가족, 친구가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너무 힘들면 도움을 요청하고 힘을 얻을 필요가 있다.


생각해 보니 자기비하가 심한 친구에게 그러면 안 된다고 조언은 했지만 상대방 입장에서 왜 그런 것인지 진지하게 생각해 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런 심리적인 문제는 본인 의지도 중요하지만 주변의 도움도 큰 힘이 되기 때문에 관심을 갖고 지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