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무서운 사람 특징 7 – 인간관계 매뉴얼

인생을 살다 보면 정말 건드리면 안 된다고 생각되는 사람이 존재하는데 진짜 무서운 사람들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화가 통하지 않는 사람도 있지만 평소 배려심이 많아도 조금만 선을 넘거나 틀어지면 무섭게 변하는 경우가 있는데 왜 그런 것일까?

이번 시간에는 건들면 정신적, 물리적으로 나에게 피해를 줄만한 진짜 무서운 사람의 특징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목차

  1. 화를 쌓아둠
  2. 높은 인내심
  3. 이성적 판단
  4. 이기적 성격
  5. 독선적 태도
  6. 차분한 모습
  7. 예측 불가능

1. 화를 쌓아둠

내성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거나 대인 관계가 한정적인 사람들은 자신이 편하게 느끼는 사람들에게 갑자기 화를 내는 경우가 있다.

이들은 평소에 불만이 있어도 내색하지 않고 쌓아두다가 가까이 지내는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분노를 표출하는 모습을 보인다.

화를 내야 할 때는 가만히 있다가 분노 게이지가 모두 차오르면 뜬금없이 폭발하는 사람들은 예상하기 어려운 일을 하기도 한다.

분노를 참고 있다가 최고점에서 터트리는 성격은 다른 사람을 불편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충동적이고 파괴적인 행위로 문제가 된다.

2. 높은 인내심

화를 쌓아두는 것과 비슷한 성격으로 타인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 노력하고 책임감이 높은 사람들은 사소한 일로 화를 내지 않는다.

하지만 성격이 모나지 않고 둥글기 때문에 화를 내지 않는 게 아니라 예민하기 때문에 참고 흔들리지 않으려는 사람들은 위험하다.

일반적인 사람들이 5번 화를 참고 분노를 표출한다면 인내심이 높은 사람들은 100번을 참은 다음에야 화를 내서 크기가 다르다.

5번 참은 사람이 상대를 때려야겠다는 생각을 한다면 100번 참은 사람은 그보다 더 심한 보복을 준비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섭다고 본다.

3. 이성적 판단

우리 주변에는 장난을 잘 치는 사람들이 있는데 친구로 지내고 있다면 기분이 나빠도 참고 관계를 이어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성적이고 냉철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화를 내면서 관계를 유지하기보다는 일정한 선을 넘으면 인연을 끊으려고 한다.

그래서 오랜 시간 참고 있다가 더 이상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면 갑자기 사람이 변하고 본색을 드러내기 때문에 무섭게 느껴진다.

정 때문에 만남을 이어가기보다는 이성적으로 도움이 안 되면 끊어내기 때문에 인간적으로 정이 없고 매정하다는 생각이 들 수 있다.

4. 이기적 성격

내 생각만 하고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사람들은 평소에도 자주 화를 내지 않아서 그렇게 무섭지 않을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두렵다.

특히 다른 사람에 대한 공감 능력이 부족한 경우 나의 이익을 위해서 타인을 희생 시키거나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불안하다.

누군가 나를 화나게 만드는 행동을 한다면 참지 못하고 복수를 꿈꾸거나 피해를 줄 생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피해를 주는 것뿐만 아니라 누명을 씌워서 이미지를 나쁘게 만들거나 괴롭히고 따돌리면서 힘들게 만들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5. 독선적 태도

화가 났을 때 아무리 상대가 잘못을 했다고 하더라도 최소한 왜 그랬는지 조금은 생각을 해보고 이해를 하려는 분들이 많다.

반면 자신의 기준이 확고하거나 독선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나만 옳다는 생각, 타인을 무시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불편하다.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의 잘못으로 피해를 받으면 화를 내고 끝내지만 독선적인 사람들은 상대를 비난하거나 통제하려고 한다.

문제를 파악하고 잘못을 가리는 것이 아니라 상대를 제어하거나 무시하려는 생각으로 화를 내기 때문에 무섭게 느껴질 수 있다.

6. 차분한 모습

어린 시절에는 화가 나면 폭력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람들, 소리를 지르거나 물건을 던지는 경우 무섭다는 생각이 든다.

나이가 먹어도 이런 생각은 변하지 않는데 나에게 해코지를 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면 두려움보다는 우습게 느껴질 수 있다.

그보다 무서운 사람들은 감정을 절제하면서 차분한 모습을 보이고 자신을 완벽하게 통제한다면 이후의 상황이 두려워진다.

화가 났을 때 말을 하지 않고 조용히 바라보는 사람들도 있는데 적대적인 표현을 담고 있는 눈빛은 인간의 본능을 자극한다.

7. 예측 불가능

조용한 사람이 화내면 더 무섭다고 하는 이유는 어떤 모습으로 변할지 상상이 안되는 예측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평소에 조용하다고 모두 해당되는 것은 아니며 감정 표현을 잘 하지 않거나 맺고 끊음이 확실한 사람만 예측이 어렵다.

화내는 사람이 어떻게 나올지 모른다면 내가 손해를 봐야 하는 일이 생길지도 모르기 때문에 무서워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렇게 잠재적인 위험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정보도 부족하고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그다지 유쾌한 기분은 아닐 것이다.


결과적으로 폭력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어떤 행동을 할지 모르는 사람을 보면 공포를 느낀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돌발 상황이 생겼을 때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사람이 있다면 부득이한 상황을 제외하고 거리를 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