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하는데 고백을 거절한다는 말은 일반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말이기 때문에 잘난 척이 심하고 가식적인 사람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사람들은 회피형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것을 힘들어하고 답변을 미루거나 피하는 행동을 보인다.
회피형 인간은 왜 상대방의 고백을 거절하고 후회를 하는 것일까? 자신도 좋아하는데 고백을 거절했다는 말은 진실인지 알아보자.
목차
1. 거절하는 방식
아직 아니야
아직은 그런 사이가 아닌 것 같아, 지금은 연애 생각이 없어서, 일단 친구로 지내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식으로 애매하게 답변을 한다.
확실하게 거절하지 않으면 상대는 다시 기회가 있다는 생각을 하기 때문에 불편한 관계를 이어갈 수 있으며 이후 고백은 더 큰 상처가 된다.
상대방에 대한 마음이 커지면 고백을 거절한 것을 후회하고, 이성으로 느껴지지 않으면 확실하게 거절하지 않은 것을 후회한다.
답변을 회피
고백을 거절당한 사람들은 본인이 상처를 입는다고 생각하지만 오히려 고백을 거절하는 쪽이 심리적으로 큰 고통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마음을 표현하는 쪽은 그동안 하고 싶었던 말을 하면서 속이 시원하지만 고백을 받는 사람은 성격에 따라서 오랜 시간 괴로워한다.
그래서 회피형 성격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고백을 받을 것 같으면 그 사람을 피하거나 다음에 이야기하자며 대화를 피하게 된다.
말없이 피한다
마음은 고맙지만 따로 좋아하는 사람이 있어서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은 그나마 상대방의 고백을 명확하게 거절하는 모습으로 볼 수 있다.
회피형 성격을 가지고 있으면 고백을 한 사람에게 제대로 답변을 하지 않고 거리를 두는 방식으로 거절 의사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같은 학교, 직장에 다니는 사람에게 고백을 하면 상대방은 고백한 사람을 피해 다녀야 하기 때문에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2. 거절하는 이유
친구로서 좋다
대화가 잘 통한다고 해서 무조건 호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연인보다는 좋은 친구로 지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그래서 평소에 가까이 지내던 남자가 고백을 하면 거절하는 여성분들이 많은데 연인이 되고 헤어지면 남보다 못한 사이가 되기 때문이다.
실제 상대방을 좋아하지만 이성으로 사랑하는 감정을 느끼지 않으면 고백을 받아줘도 진도가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금방 헤어지게 된다.
두려운 감정
연애 경험이 없거나 부정적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고백한 사람과 연인이 되면 특별한 관계를 오래 지속해야 한다는 불안감을 느낀다.
나를 좋아한다고 말한 사람에게 호감을 느끼고 있어도 전과는 다른 관계로 변하는 것이 무섭게 느껴져서 순간적으로 고백을 회피할 수 있다.
나중에는 용기를 내서 고백을 받아주는 경우도 있으니 상대방에게 차였다고 연락을 끊고 잠수를 타는 한심한 행동을 하지 말자.
이상형 괴리감
상대에게 매력을 느끼고 있으며 어느 정도 썸을 타기도 했지만 내가 생각하는 이상형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많아서 애매한 기분이다.
그래서 일단 고백을 거절하는 경우가 있는데 객관적으로 괜찮은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면 자신의 선택을 후회하는 분들이 많다.
더 좋은 사람을 만날 수 있을 것 같아서 괜찮지만 시간이 지나도 괜찮은 남자를 만나지 못하면 추억 보정이 더해져서 아쉬움이 커진다.
쉽게 생각할까
평소에 친분이 없거나 알고 지내지 얼마 안 된 사람이 고백을 하면 상대방이 나를 쉽게 생각하는 것 같아서 기분이 나쁠 수 있다.
다른 의미로는 상대방의 고백을 너무 쉽게 받아주면 나를 쉬운 사람으로 생각할까 봐 일단 거절하고 자신의 선택을 후회하기도 한다.
상대방이 소심한 성격을 가지고 있거나 회피형의 경우 이런 감정을 많이 느끼기 때문에 오해하지 않도록 진솔한 마음을 보여주자.
결정을 못함
스스로 중요한 결정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누군가 고백을 하면 거절하는 경우가 많은데 우유부단한 성격이 작용하는 것으로 본다.
우유부단하고 선택을 확실하게 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여러 이성을 비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확실한 느낌이 없으면 연애를 하지 않는다.
그래서 나도 좋은데 거절했다고 말하는 것은 다른 사람과 비교해도 나쁘지는 않은데 사귀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는 말과 같다.
3. 결과 적으로
상대방이 정말 매력이 없는 사람이라 거절을 했다면 이런 기분을 느끼지 못하지만 평범한 수준이었다면 자연스럽게 느끼는 감정이다.
이성으로서의 매력이 없거나 부족해서 고백을 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 좋아하고 있는데 왜 그랬을까? 괜한 후회를 할 필요는 없다.
애매한 감정을 느낄 때 고백을 받아주면 대부분 불편한 시간을 보내다가 애매하게 헤어지기 때문에 현명하고 좋은 판단일지도 모른다.
정말 좋아하는 데 고백을 거절했다면 늦기 전에 내가 마음을 표현하면 되는 일이기 때문에 괜히 고민하면서 괴로워할 필요는 없다.
별다른 관심이 없던 사람의 고백을 거절해도 애틋한 기분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 상대방에게 상처를 줘서 미안한 마음이 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백을 거절당하는 것은 쪽팔리는 일이지만 상대방도 힘들기 때문에 괴로워하거나 연락을 끊고 잠수를 타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